간편하게 보는 뉴스는 유니콘뉴스
한국교육개발원,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실태 분석 연구 결과 발표

· 등록일 2024-05-24 09:00

· 업데이트일 2024-05-25 00:06:43

진천--(뉴스와이어)--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은 2023년 수행된 ‘대학 학과·전공 운영 실태 분석’(연구책임자 유예림) 연구를 통해 지난 10년간(2013∼2022년) 우리나라 대학의 학과·전공 개편 추이와 현황을 분석하고 발전 과제를 도출했다.

[그림 1] 전공계열별 신설 학과‧전공 수 변화 추이(2013-2022) 이 연구에서는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을 ‘학과·전공의 편제 개편뿐 아니라 이를 둘러싼 입학정원, 학생, 교원, 교육 내용 등의 측면을 관리하고 운용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관련 실태를 국가수준의 거시적 관점과 대학수준의 중간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학과·전공은 지난 10년간(2013~2022년) 대학평가와 대학재정지원사업, 미래인재 양성 정책과 연계해 첨단분야와 응용학문을 중심으로 개편됐다. 예컨대 학과·전공 수의 증감이 급격히 이뤄진 2017년, 2021년은 정부의 대학평가 정책이 강하게 발효된 시기와 맞물린다.

전체 대비 전공계열별 학과·전공 수의 비율을 고려하면 공학계열의 학과·전공은 증가했고, 인문·교육·의약·예체능계열은 부침을 보이나 비교적 일정 수준을 유지했으며, 사회·자연계열은 감소했다. 다만 대학 학과·전공 수의 변화 추이는 동일 전공계열 내에서도 세부 학문분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했다.

대학의 학과·전공은 첨단분야를 중심으로 한 공학계열(2017년 이후)과 실용학문을 중심으로 한 사회계열(2017년 이전)에서 신설, 폐지 등의 개편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다(그림 1 참조). 교육과정 내용 측면에서는 학습자 참여 중심의 실험 및 실습, 데이터 기반의 분석, 현장 실무중심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대학별 학과·전공 수는 2013년 56.6개에서 2022년 64.6개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대학 내 학과·전공이 기본적으로 상호 구분된 학문분야의 내용을 바탕으로 운영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를 통해 지난 10년간 대학 내 학과·전공의 운영이 전반적으로 다양화되고 세분화되는 방식으로 증가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대학현장의 학과·전공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사항으로는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개편 대상 선정, 지나친 교원 겸임제도의 지양, 학생의 선택권과 전공역량 강화를 동시에 보장하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전담조직 구축을 통한 지속적인 행·재정적 지원 등이 도출됐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개선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안했다. 첫째,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실태를 전공계열뿐 아니라 학문분야 단위까지 고려해 세밀하게 분석·해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래 인재양성 정책 수립 시 학문분야별 학생 및 교원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셋째, 첨단분야의 학과·전공 증설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학생 및 전임교원의 확보 기제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의 학과·전공 관련 국가수준 통계조사 항목을 최신화·다변화·구체화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대학의 학과·전공 운영 실태에 관한 심층 분석을 위해 각종 조사 자료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

※ 위 내용 중 학과·전공 변화 추이 분석 결과는 ‘KEDI 브리프 8호 대학의 학과·전공은 지난 10년간 어떻게 개편되었는가?’에 보다 상세히 수록돼 있다. KEDI 브리프 8호는 2023년도 한국교육개발원 기본연구과제인 ‘대학 학과·전공 운영 실태 분석’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했으며, 해당 보고서 전문은 한국교육개발원 누리집(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교육개발원 소개

한국교육개발원은 국무총리실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의 정부 출연 연구 기관이다. 다양한 연구·사업을 통해 교육 분야 국정 과제를 지원하고, 국가 수준의 중장기 교육 발전을 위한 정책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4년 창립 52주년이 된 한국교육개발원은 교육 현장 중심 연구, 데이터 기반 연구 강화를 통해 교육 체제의 혁신을 선도할 것이다.

첨부자료:
KEDI Brief (8호).pdf 웹사이트: http://www.kedi.re.kr 연락처 한국교육개발원
홍보자료실
채경은
043-530-9231
이메일 보내기 
소셜 페이스북 유튜브 인스타그램 이 보도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 보도자료구독하기RSS ‘2024년 제1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 온라인 개최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은 5월 7일(화) 오후 2시부터 ‘지역특화 교육정책 실현을 위한 교육특례 운영의 방향과 과제’를 주제로 ‘2024년 제1회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교육정책네트워크 정책 토론회는 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개발원 외 8개 교육관계기관*이 참... 5월 7일 13:40 한국교육개발원, 제20대 고영선 원장 취임 고영선 제20대 한국교육개발원(KEDI) 신임 원장이 4월 29일 오후 3시 원내 대강당에서 취임식을 갖고 “핵심적인 문제에 대해 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부가가치 높은 연구를 통해 정책연구의 수월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영선 원장은 “선험적 믿음과 주관적 판단이 아닌 실증적 근거(evid... 4월 30일 11:50 ... 더보기  관련 보도자료 교육 교육 일반 대학교 조사분석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전체 보도자료 
인기 기사05.22 02시 기준
서울--(뉴스와이어)--좋은땅출판사가 ‘나는 너를 원한다’를 펴냈다. 김홍봉 지음, 좋은땅출판사, 208쪽, 1만6800원 목회자로 살아온 김홍봉 목사는 41년 간의 사역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영암--(뉴스와이어)--발효음식 명가 기찬빌리지(회장 조태임)가 롯데홈쇼핑서 기찬탁주·약주 론칭 행사를 진행한다. 6월 12일 수요일 오후 6시부터 1시간 동안 라이브 생방송으로 진행되며, 50% 할인 판매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이다. ...
몬트리올--(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타이밍 솔루션 분야의 선두 공급업체인 스타세라(Stathera Inc.)가 세하트 수타르자 박사(Dr. Sehat Sutardja)를 즉시 이사회 멤버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수타르자 박사는 마벨 테크놀로지(Marvell Technology)의 공동 창립자이자 전 CEO로서, 그의 관리하에 마벨은...
서울--(뉴스와이어)--관절·척추 질환의 비수술 치료를 표방하는 신도림서울정형외과가 신도림에 1일 개원했다. 구로구에 위치한 신도림서울정형외과 김동환 대표원장 구로구에...
뉴델리, 인도--(뉴스와이어)--엠엔디테크는 자사가 기획한 ‘제니안 패션쇼’가 인도 뉴델리서 열린 노이다시 엑스포 한국인도국제가요제의 화려한 오프닝 무대로 성황리 진행됐다고 3일 밝혔다. 제니안 패션쇼에 출연한 패션 디자이너 제니안(왼쪽에서...
DUBAI, UNITED ARAB EMIRATES--(Business Wire / Korea Newswire)--MultiBank Group, one of the world's largest financial derivatives institutions headquartered in Dubai, announces its most successful financial year to date, with an impressive revenue of $306,636,717...
API
fg
유니콘뉴스는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뉴스를 등록하면 언론이 보도하고 널리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