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하게 보는 뉴스는 유니콘뉴스
서울대 공대 남기태 교수-김영민 교수 공동 연구팀, 나노입자 입체구조 예측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 등록일 2024-05-02 11:05

· 업데이트일 2024-05-03 00:15:15

서울--(뉴스와이어)--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와 전기정보공학부 김영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입자 입체구조를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앞줄 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장동수 석사(공동 제1저자),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임상원 박사(공동 제1저자), 뒷줄 왼쪽부터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김영민 교수(공동 교신저자),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공동 교신저자) 이는 재료 실험 그룹과 3D AI 알고리즘 그룹의 합작으로 달성된 성과다.

AI는 과학적 방법론에 새로운 지평을 열며 산업의 구조를 바꾸고 있다. 구글의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 이후 엔비디아는 단백질의 구조 분석 및 세포 반응 예측을 통한 신약 개발 플랫폼 ‘바이오니모’를 공개했다. 바이오뿐만 아니라 신소재 분야에서도 AI를 이용한 혁신은 이미 이뤄지고 있다. 구글 딥마인드는 새로운 배터리 물질을 예측할 수 있는 AI와 예측한 신소재를 자동으로 검증·개발할 수 있는 로봇 자동화 실험실을 발표했다.

신소재 개발 분야에서 핵심 난제 중 하나는 나노입자의 입체구조 예측이다. 나노입자의 입체구조는 광학, 촉매, 그리고 반도체 특성 등 물리적 성질을 직접 좌우한다. 즉 입체구조가 센서와 배터리 등 소자의 핵심 성능을 결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특성의 소자 개발을 위해 나노입자의 합성 조건에 따른 입체구조와 이에 따른 특성 예측이 중요하다.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AI 알고리즘은 나노입자의 성장 과정에서 입체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노 수준에서 효과적으로 예측했다. AI는 작은 씨앗 입자에서 복잡한 구조로 진화하는 과정과 거울상 이성질체로 입체구조가 나뉘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예측했다. 기존에는 원자 단위에서 나노입자의 성장과 모양 변화 이해는 매우 어려웠으나 AI 적용을 통해 빠르고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개발된 AI는 기능성 나노입자와 소자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광학 소자와 센서로써 응용가능성이 높은 카이랄 금 나노입자의 합성법 고도화에 AI가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나노입자는 이미 2018년과 2022년 두 차례 네이처(Nature) 본지에 그 합성법과 센서 소자화에 대해 게재된 바 있으며, AI가 실제 소자 개발을 위해 나노입자의 입체구조 예측 및 검증에 응용될 수 있는 만큼 미래 산업에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결과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나노 패턴의 원리를 기술하기 위해 삼차원 세포자동자를 최초로 적용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크다. 세포자동자는 생명체를 기술하기 위해 고안된 가장 간단한 수학적 모델로 알려져 있다. 기존에는 해당 모델이 삼차원에 적용되는 것이 한계가 있었으나 AI와 결합을 통해 이를 극복한 것이다. 이 같은 발견은 재료뿐만 아니라 자연계의 복잡한 패턴, 특히 생명체의 거울 이성질체 발달 원리 이해에 근본적인 과학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남기태 교수는 “개발된 AI를 기반으로 나노입자의 입체구조를 예측하고 자동으로 검증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며 “AI를 이용한 신소재 개발 트랙이 국내에서도 가능해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김영민 교수는 “AI가 나노 수준의 복잡한 현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결과며, 이 방법론이 더 넓은 과학과 공학 분야로 확장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연구의 제1저자인 서울대학교 임상원 박사, 장동수 석사는 현재 각각 서울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해당 연구 결과는 중요성을 인정받아 재료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처 메터리얼스(Nature Materials)에 5월 1일자로 개제됐다(네이처 메터리얼스의 영향력 지수(impact factor)는 2023년 기준 41.2).

한편 이 연구는 국방과학연구소 미래도전국방기술개발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 그리고 한국연구재단 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웹사이트: https://eng.snu.ac.kr/ 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임상원 박사
이메일 보내기 
이 보도자료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보도자료구독하기RSS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팀, 차세대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의 스위칭 메커니즘 규명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팀(백근우 박사, 김연준 박사과정생 공동1저자)이 서울대학교 이수연 교수·유선규 교수, 성균관대학교 배완기 교수·임재훈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코어-쉘 구조의 콜로이드 양자점(QD)을 이용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변화 메커... 5월 2일 13:38 서울대 공대 허은녕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허은녕 교수가 지난 22일(월) 열린 2024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도약장을 수훈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허은녕 교수가 공학 기술과 경영·경제학의 융합 및 국제화 교육의 확대를 통해 과학기술 저변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 4월 24일 15:08 ... 더보기  관련 보도자료 교육 대학교 기술 양자와 나노기술 연구개발 서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체 보도자료 
인기 기사05.23 15시 기준
서울--(뉴스와이어)--비즈니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쿠콘(대표 김종현, 코스닥 294570)이 대출 심사 간소화에 필요한 ‘We-Check (모바일 증명서 조회)’ 서비스를 제공해 금융기관의 업무 혁신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쿠콘이...
서울--(뉴스와이어)--하나금융그룹의 하나은행(은행장 이승열)과 하나카드(사장 이호성)는 쿠팡(각자대표 강한승, 박대준), 쿠팡페이(각자대표 비제쉬 아이어(Vijesh lyer), 경인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위한 금융혁신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경기둔화 및 고금리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서울--(뉴스와이어)--살아있는 불교문화의 꽃 ‘2024서울국제불교박람회’가 역대 최다 관람객 수를 기록하며 성황리에 폐막했다. ‘재밌는 불교’를 주제로 열린 이번 불교박람회는 4월 4일부터 7일까지 나흘간의 일정으로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 전관과 홈페이지 등 온·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
서울--(뉴스와이어)--한화생명e스포츠(Hanwha Life Esports)가 베트남 호찌민에서 개최한 ‘2024 HLE Global Fan Fest in Vietnam (이하 글로벌 팬페스트)’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2024 한화생명e스포츠 글로벌 팬페스트 in 베트남...
BOSTON--(Business Wire / Korea Newswire)--Gradiant, a global solutions provider for advanced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announces the spin-out of alkaLi™, a standalone company dedicated to accelerating the scaling of battery-grade lithium production. alkaLi is...
군포--(뉴스와이어)--종합외식기업 다름플러스가 운영하는 소고기 전문 프랜차이즈 이차돌(대표 이억불)과 한국마케팅광고협회 산하 보육원 후원 단체 굿닥터네트웍스(대표 오두환)가 손을 잡고 기부에 나섰다. 이차돌과 굿닥터네트웍스가 소외된 아이들을 돕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차돌과 굿닥터네트웍스는 12월 1일 사회공헌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PI
fg
유니콘뉴스는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뉴스를 등록하면 언론이 보도하고 널리 배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