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하게 보는 뉴스는 유니콘뉴스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팀, 차세대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의 스위칭 메커니즘 규명

· 등록일 2024-05-02 13:38

· 업데이트일 2024-05-03 00:15:04

서울--(뉴스와이어)--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팀(백근우 박사, 김연준 박사과정생 공동1저자)이 서울대학교 이수연 교수·유선규 교수, 성균관대학교 배완기 교수·임재훈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코어-쉘 구조의 콜로이드 양자점(QD)을 이용한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변화 메커니즘을 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왼쪽부터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곽정훈 교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백근우 박사, 김연준 박사과정생 코어-쉘 구조의 콜로이드 양자점은 크기, 모양, 조성에 따라 전기적·광학적 특성의 조절이 용이하고 우수한 발광특성을 가지는 소재로, QD 디스플레이 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 나노미터의 작은 크기 때문에 표면에 존재하는 미량의 결점도 전기적·광학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연구팀은 이러한 양자점의 표면에 존재하는 결점의 제어를 통해 저항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했고, 이를 저항변화 메모리 제작에 활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는 저전력 구동과 반복적인 저장 및 읽기가 가능한 높은 신뢰성을 나타냈으나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의 동작 메커니즘은 기존에 알려진 바가 없었다. 연구팀은 이를 밝혀내기 위해 소자 및 소재에서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먼저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내에서 저항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전하가 무엇인지 규명하기 위해 유기 절연체인 poly (methyl methacrylate) 박막을 양자점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삽입해 스위칭 특성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의 저항을 변화시키는 주요 전하는 ‘전자’임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다음으로 이 전자가 저항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양자점 내에서 포획되는 결점의 위치와 그 에너지 준위를 알아내기 위해 단일 코어 구조와 단일 쉘 구조의 양자점을 각각 적용한 저항변화 메모리를 제작하고, 이들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해 실제 소자와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의 스위칭 특성이 양자점의 최외각 표면에 존재하는 트랩 에너지 준위에 의해 나타남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는 시냅스의 복잡한 처리 및 기억 형성을 위해 요구되는 우수한 선형 자극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해 모사한 신경망은 EMNIST (Extended Modifie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데이터셋 학습을 통해 S, N, U라는 알파벳 추론 시 91.46%의 높은 인식률을 달성했다.

백근우 박사는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을 이용해 고성능의 저항변화 메모리 개발이 가능함을 보였다”며 “스위칭 메커니즘을 밝혀 냄으로써 앞으로 양자점 멤리스터 개발이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곽정훈 교수는 “콜로이드 양자점의 연구 분야가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인공신경망 등의 차세대 반도체까지 확장됐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양자점 저항변화 메모리는 광학적으로도 제어가 가능해 광-전기 하이브리드 컴퓨팅을 위한 미래 핵심 기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소재·나노기술 및 과학 분야의 최고 권위 저널 중 하나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5월 1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으며,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 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게재 링크: https://pubs.acs.org/doi/full/10.1021/acs.nanolett.4c01083).

웹사이트: https://eng.snu.ac.kr/ 연락처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백근우 박사
02-880-9559
이메일 보내기 

곽정훈 교수
02-880-1781
이메일 보내기 
이 보도자료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보도자료구독하기RSS 서울대 공대 남기태 교수-김영민 교수 공동 연구팀, 나노입자 입체구조 예측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재료공학부 남기태 교수와 전기정보공학부 김영민 교수 공동 연구팀이 나노입자 입체구조를 예측하는 AI 알고리즘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재료 실험 그룹과 3D AI 알고리즘 그룹의 합작으로 달성된 성과다. AI는 과학적 방법론에 새로운 지평을 열며 산업... 5월 2일 11:05 서울대 공대 허은녕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허은녕 교수가 지난 22일(월) 열린 2024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도약장을 수훈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허은녕 교수가 공학 기술과 경영·경제학의 융합 및 국제화 교육의 확대를 통해 과학기술 저변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 4월 24일 15:08 ... 더보기  관련 보도자료 교육 대학교 기술 양자와 나노기술 연구개발 서울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체 보도자료 
인기 기사04.09 08시 기준
서울--(뉴스와이어)--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중국인 유학생들이 코로나19로 인해 격리됐던 14일 동안의 기록을 담아낸 동영상을 만들어 주목받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 왕카이유, 송하오, 청지아홍 이 대학의 중국인 유학생 왕카이유와 송하오, 청지아홍 3명은 대학 측의 배려에 감사를 표시하기 위해 이...
런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디지털 혁신과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산업용 소프트웨어의 글로벌 리더인 아비바(AVEVA)는 최초로 개최되는 아비바 E3D 디자인 대회(AVEVA E3D Design Competition)에 대한 신청 점수를 시작했다. 이 콘테스트에서는 아비바 E3D 디자인의 인공 지능(AI) 및...
LONG BEACH, CALIF.--(Business Wire / Korea Newswire)--Laserfiche — the leading SaaS provider of intelligent content management and business process automation — today announced the winners of the 2024 Laserfiche Run Smarter® Awards. The Laserfiche...
ALISO VIEJO, CALIF--(Business Wire / Korea Newswire)--MicroVention, a fully owned subsidiary of Terumo Corporation, announced today that the United States District Court for the Central District of California has issued an injunction permanently enjoining...
서울--(뉴스와이어)--한국환경보전원(원장 신진수)과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이사장 나진구)는 15일 오후 3시 서울시자원봉사센터(서울 마포구 소재)에서 ‘층간 소음 예방교육 및 홍보’ 확대를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개최했다. 협약식에는 신진수 한국환경보전원 원장과 나진구 서울시자원봉사센터 이사장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
대전--(뉴스와이어)--레이저 및 에너지 기반 글로벌 메디컬 솔루션 전문 기업 원텍(대표이사 김종원, 김정현)은 2월 29일 자사 올리지오(Oligio)가 ‘2024 대한민국 소비자선호도’ 의료기기(피부미용의료기기) 부문 1위를 수상해 2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고 밝혔다. ‘2024 대한민국 소비자선호도 1위’는 공정한...
API
fg
유니콘뉴스는 보도자료 배포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뉴스를 등록하면 언론이 보도하고 널리 배포됩니다.